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법적근거
-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제47조(보조 · 융자)
-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운용규정」
추진경위
-
’14.1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 수요관리중심의 에너지정책전환
-
’15.4월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 :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이행계획 발표
-
’16년
에너지신산업 지원 추친
-
’21.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
-
’22.7월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 발표 : 분산에너지 활성화로 미래형전력망 구축
-
’23.1월
「제10차 전력수급계획」발표 : 분산형 전원 확대방안
-
’23.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제정
-
’24.1월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으로 사업 개편
-
’24.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시행
사업내용
- 지역의 에너지 수급 여건을 반영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반 조성 및 보급 확대를 위한 사업모델 발굴 · 지원
- 분산자원 활용 플랫폼 구축사업
- 전력계통 유연성 확대 설비 지원사업
- 분산에너지 생산 설비 지원사업
지원대상
-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협동조합, 비영리법인, 공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 지방자치단체가 참여기관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광역, 기초 무관)
지원비율
- 시행기관 구성에 따른 사업비 지원 또는 부담 비율
구분 | 대상 | 사업비 지원 또는 부담 비율 | 기관수 | ||
---|---|---|---|---|---|
정부 | 산업부(한국에너지공단) | 60% 이내 | - | ||
주관기관 |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 협동조합/비영리법인/공기업 등 | 30% 내외 | - | ||
참여기관 | 민간 | 최대 1개 까지 가능 | |||
지자체 | 광역, 기초 | 10% 이상 | 최대 2개 까지 가능 |
추진절차
-
사업공모
-
신청·접수
-
선정평가
-
지원대상 확정
-
협약체결
-
원가검증
-
보조금 교부
-
진도점검
-
사업완료 및 결과보고
-
사업비 정산
-
수행결과 평가
-
사후관리
추진 실적
(예산단위 : 백만원)
연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지원예산 | 6,429 | 10,573 | 10,850 | 9,080 | 12,263 | 9,304 | 7,709 | 7,300 | 9,810 |
사업 수 | 12 | 13 | 8 | 8 | 10 | 12 | 7 | 6 | 11 |
담당부서
- 분산에너지실 052) 920-0952/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