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통계
추진목적
- 산업부문의 대규모 조사를 통하여 실제 수요측면에서의 사업장별, 연소설비별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으로 접근
- 제도 추진 경위
-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Post-2020 체제하 측정보고검증 가능한 감축목표 설정 등 국내 의무부담 가중정확한 감축잠재량 파악 및 협상지원 체계 구축을 위하여 국제 수준의 세분화된 수요부문 온실가스 통계 조사 및 관리가 필요
- 이에 KEA는 ’05년 제조업, 광업부문(5인 이상 사업장) 조사를 시작으로 국가 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DB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오고 있음3년 주기의 부문별(산업, 가정·상업, 수송 등) 통계 조사를 추진하였으나, 부문별 관장기관 원칙에 따라, ’11년부터 매년 산업부문 통계자료의 지속적 조사및 분석을 추진
사업의 내용
- 사업의 정의
- 부문별 사업장에 대한 에너지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 조사를 통해 에너지 절감요인 및 감축잠재량 파악을 위한 국가 온실가스 통계DB구축
- 사업의 대상
- 통계청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에 따른 대상 선정`15년 기준 광업·제조업 약 10만 사업장 대상( 종사자수 10인 이상 전수조사 포함)
- 법적근거
- 에너지법 제19조 제5항 및 제6항 (에너지 관련 통계의 관리·공표) 및 통계청 승인통계 제337003호
추진절차
-
조사 기획
1월 -
조사표 설계
2~3월 -
조사명부 확정
3월말 -
현장 조사
4~8월 -
자료 검증
9~10월 -
DB 구축
11~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