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연비센터 운영
추진목적
- 자동차연비 부설기관으로서 자동차 에너지효율 관련 정책지원, 연구, 시험평가, 교육을 통한 수송부문 에너지 수요관리 기능 강화에 기여
사업의 내용
- 사업의 정의
- 자동차 연비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공인연비 시험기관 역할 및 연구분석(R&D) 기반 정부 정책 지원
- 사업 대상
- 정부 : 자동차 에너지효율 제도 고도화 및 정부 정책 관련 연구분석 지원
- 소비자 : 자동차 에너지효율 관련 대국민 정보제공 연구, 홍보
- 기업 : 고효율친환경 자동차 개발촉진을 위한 시험평가 연구 지원
배경
- 추진 경위
-
’13년
‘자동차 연비 관리제도 개선방안’ 산업부 발표
-
’14년
자동차연비센터 유치 업무협약(공단-충북도-진천군) 체결
-
’15년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연구 업무 수행
-
’16년
한국에너지공단 자동차연비센터 준공 및 시험장비 도입
-
’18년
공인시험기관 인정(KOLAS,'17년), 영국 교통부 차량인증국 인정(VCA)
-
- 법적 근거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15조(효율관리기자재의 지정 등) 및 제57조(사업)
-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산업부 고시)
- 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온실가스배출량 및 연료소비율 시험방법 등에 관한 고시(산업부 · 환경부 · 국토부 고시)
추진절차
- 자동차연비센터 정책지원 연구 수행체계
-
인프라 구축
- 저온 ~ 고온 환경설비 구축
- 이륜 ~ 중대형 시험장비 구축
- KOLAS 기준 체계적 관리
자동차연비센터
-
선행 연구
- 해외 시험기준 검증연구
- 시험방법 개선·연비특성 연구
- 선행 연구결과 학회 발표
자동차 관련 국내외 기구
-
정책 지원
- 시험기준 고시개정(안) 검증
- 연비 시험 및 검증방안 개발
- 대국민 대상 정보제공
정부, 기업, 소비자
-
- 자동차연비센터 에너지소비효율 공인시험 수행절차
-
시험신청
시험신청서 (초안), 시료 및 관련 서류 제출
-
시료확인 및 기술검토
시료 확인 후 시험 항목 검토
-
시험 신청 접수
수수료 수납 확인 후 시험 신청서 접수
-
시험 수행
신청된 시험 황목에 따른 시험 수행
-
성적서 작성
시험항목별 결과를 기록·검토
-
결과통보
시험성적서 발급 및 시료회수 안내
-
추진 실적 및 성과
- 주요 추진 실적
- 미국 EPA 기준 자동차 에너지효율 5-cycle 시험시설 구축('17년)
- 내연기관, 전기차,HEV · PHEV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공인시험기관 인정('17년)
-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관련 정부 수탁 연구과제 수행('15년∼)
-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연구결과 학회 발표(11건) 및 제도개선 지원('20년∼)
- 자동차연비센터 주요 추진 실적
자동차연비센터 주요 추진 실적 안내표 구분 정책지원 연구 정부과제 수행 공인연비 시험 인력양성 성과 18건 5건, 44억원 53건 407명 기간 2020∼2021 2015∼2022 2018∼2022 2017∼2022 - 주요 성과
- 내연기관,친환경차 등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정책지원 연구* 추진* 전기차 연비 6건, 중대형차 연비 5건, 내연기관 연비 7건
- 자동차 연비 제도개선 및 고효율 자동차 개발촉진 연구과제 수행
- 1실주행승용차 연비실증 및 DB 구축
- 2소형화물 전기차플랫폼 연비검증
- 3승용차 실주행 배기가스 연구
- 4 xEV 개발플랫폼 체계화 연구
- 5수소버스 최적화 기술개발 연구
- 자동차 연비시험KOLAS 자격유지 및 시험평가 인프라 구축 강화
자동차 연비시험KOLAS 자격유지 및 시험평가 인프라 구축 강화 안내표 시험실 승용차 이륜차, 초소형 전기차 중대형차 시험차종 내연기관, 전기차,HEV, PHEV 이륜 · 사륜 오토바이, 초소형 전기차 내연기관, 전기 버스, 트럭 구축 및운영 2017년∼ 2020년∼ 2020년∼ - 자동차 관련 종사자 및 대학생 대상 자동차 에너지효율 교육 확대
- 자동차 제작사·수입사, 대학생 대상 자동차 연비아카데미 추진
- 자동차 에너지효율 관련 인재육성을 위한 대학 정규 교육과정 개발 - 자동차 연비 대국민 궁금증 해소를 위한 자동차 연비FACT CHECK 추진
- 공단카드뉴스, 홍보 동영상 등을 제작하여 온라인홍보- 국민 체감형 연비 아이템 12개를 선정 및 실제 차량활용 연구시험
향후 계획
- 차 기반의 대형 화물차 에너지소비효율 시험방법 개발
- 국내 자동차 산업육성을 위한 국책 연구과제 수행 및 자동차 기업 기술개발 지원
- 승용차 에너지소비효율현행화를 위해 연비 산정 기준개선 연구
- 자동차 연비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자동차 연비아카데미 및 전기자동차 연비 시뮬레이션 개선 경진대회 운영